안녕하세요. 주식 마에스트로입니다. 오늘은 금과 비트코인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국가들이 금리 인하 및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글로벌 통화량이 급증하였습니다. 통화 가치는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금값은 급등하고 있습니다. 통화량의 증가는 돈의 가치를 하락시켜 물가 상승을 견인합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면 기존에는 100달러로 금 1온스를 살 수 있었지만, 달러를 계속해서 찍어내면서 시장에 유통되는 달러가 2배 증가했다고 가정하면 금의 가치는 그대로이지만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서 200달러를 지불해야 금 1온스를 살 수 있습니다. 미국은 코로나19 쇼크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무제한 양적완화를 시행하면서 ..
코스닥 검색 결과
안녕하세요. 주식 마에스트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난주 금요일 뉴욕 증시는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가 중국을 넘어서면서 최다 확진국이 된 것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역대급으로 폭증한 것에 이어 소비자심리지수도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하면서 시장의 투심이 위축되며 장 초반부터 갭하락 출발하였습니다. 2조 달러 경기부양책의 미 하원 통과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이던 뉴욕 증시는 하원 통과 소식과 함께 반등하며 낙폭을 줄였습니다. 그러나 장 막판 미 연준이 미국 국채 매입 속도를 늦추겠다고 밝히면서 급락세를 보이며 3대 지수가 모두 4% 내외의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다우존스 -4.06%, S&P 500 -3.37%, 나스닥 -3.79%) IMF(국제통화기금) 총재는 ..
안녕하세요. 주식 마에스트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난밤 뉴욕 증시는 개장 전부터 선물 지수가 하한가 근처에서 움직이며 블랙먼데이 공포가 확산되고 있었습니다. 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1조 달러 경기 부양책과 관련한 법인이 상원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시장의 공포가 극에 달하며 서킷 브레이커가 또 한 번 발동될 것이라는 전망이 컸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패닉셀로 인한 주가 급락을 완화하기 위해 15분간 매매를 중단하는 제도로 지수가 7% 이상 급락하면 발동됩니다. 뉴욕 증시는 3월 한 달 만에 무려 4번이나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할 정도로 시장은 극도의 공포를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 연준이 3월 3일 기준 금리를 0.5% 포인트 깜짝 금리 인하한 것에 이어 15일 기준 금리를 추가로 1.0%..